‘학’—특히 우리가 말하는 두루미나 황새 같은 새들을 학이라고 하는데 —은 양재천과 같은 도시 하천에 정기적으로 오는 경우는 드물어요. 하지만 아예 불가능한 건 아니고, 몇몇 특별한 경우엔 목격된 기록도 있어요.

🔍 ‘학’이라고 하면 보통 누굴 말하나요?
흔히 말하는 이름 실제 새 이름 철새/텃새 여부
두루미 | 두루미 (Red-crowned Crane) | 겨울철새 (희귀) |
재두루미 | 재두루미 (White-naped Crane) | 겨울철새 |
황새 | 황새 (Oriental Stork) | 텃새화된 일부 / 희귀 |
검은목두루미 등 | 다양한 종류 | 대부분 철새 |
🏞 양재천에 학이 오는 건 가능할까?
✅ 가능성은 있음:
- 이동 중 길을 잠깐 들러 쉬는 경우 (※특히 황새)
- 개체수가 늘어난 멸종위기종이 예상치 못한 곳에 출현하는 경우
- 양재천처럼 복원된 생태하천은 먹이나 쉼터가 될 수 있어서 일시적으로 찾아올 수도 있음
❌ 하지만 일반적이진 않음:
- 학류는 넓은 습지, 논, 한적한 평야지대를 좋아함
- 도시 하천은 사람 왕래가 많고 공간이 좁아서 선호하는 서식지는 아님
📸 참고: 서울 도심에서 학이 목격된 사례
- 황새는 몇 년 전 경기도 안성 방면이나 충청도 일대에서 복원사업으로 방사되었고, 일부는 서울 근교까지 날아오는 사례도 있어요.
- 두루미나 재두루미는 주로 철원, 연천, DMZ 부근에서 관찰돼요.
결론!
"학(두루미류, 황새 등)은 양재천에 자주 오는 새는 아니지만, 이동 중이나 우연히 잠깐 들를 가능성은 있다."
혹시 누가 "양재천에서 황새 봤다"는 얘기 들으셨거나, 이상하게 큰 새를 본 적 있다면 진짜 흥미로운 목격일 수도 있어요!
728x90
반응형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일락의 많은 것을 알려드립니다 (20) | 2025.04.25 |
---|---|
양재천 산책로와 자전거길은 언제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9) | 2025.04.24 |
황매화는 토종인지 아니면 어디서 들어온 외래종인지? 이름처럼 매화과인가요? (10) | 2025.04.23 |
튤립은 1세대 잡종인 F1튤립과 원종튤립으로 나뉘는데 좀 알아볼까요? (22) | 2025.04.21 |
모란과 목단을 구분하시나요? (18) | 2025.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