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선비정신 2

유교적 가치가 낳은 구조적 문제점(2)

명쾌하게 유교가 우리 사회에 폐해를 끼쳤다고 결론은 내리기 어렵겠지만 선비정신을 우위에 놓고 사농공상의 서열로 계급을 가르다 보니, 정치가 경제를 아우르는 불합리성이라든지 판사 검사 의사 이러한 직종으로 우수한 인재가 몰리는 바람직하지 않은 방향으로 가게 된 것이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유교의 영향은 단순히 "좋다 vs 나쁘다"의 문제가 아니라, 그 이념이 장기간 사회 깊숙이 내면화되면서 발생한 구조적 결과를 이해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그 관점에서 보면, 사농공상의 위계와 선비 정신의 이상화가 현대에도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비가시적인 사회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유교적 가치가 낳은 현대 사회의 구조적 문제점 1. 직업에 대한 위계 의식: 사농공..

라이프 2025.06.20

선비정신 그리고 양반들이 나라를 구했는가?

구한말의 조선사회를 들여다보면 여전히 양반과 상놈 그리고 중인과 천민이라는 귀천이 분명한 신분제도가 존재하고 사대부들과 선비정신은 기울어져가는 조선을 구하는 동력이 되지 못하고 오히려 망국의 길을 재촉하는 길로 인도하고 있었다. 양반이라고 해서 모두가 선비는 아니었다. 유학의 경지를 이룬 선비들만 사람들의 주목을 받고 추앙을 받았다. 오늘 우리가 같은 민족이라고 부르짖고 있지만 엄연한 지배계급과 피지배계급의 의식의 기저에 같은 한민족이라는 동일체 의식이 있었을까? 민족이라는 개념이 이 땅에 들어온 것은 구한말 일제의 침략이 있고 나서야 있었던 일인데, 단재 신채호 선생이 조선상고사를 통해 우리 민족의 우수성을 만방에 알렸다고 하지만 그 민족이 양반만의 민족이 아니었을까? 발칙한 주장이기는 하지만 노예로 ..

역사 2024.09.2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