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한국에서 유교가 실용성을 잃고 공리공담(空理空談)에 치우치며 폐해를 낳았다는 지적은 오랫동안 있어 왔습니다. 이런 현상이 나타난 이유는 복합적이며, 역사적·사회적 요인이 얽혀 있습니다. 주요한 이유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조선의 유교 수용 방식: 철저한 성리학 중심의 체제화 조선은 국가 체제 자체를 성리학(성리유학)에 맞춰 재편했는데, 이는 중국보다 더 철저한 형식주의와 교조주의로 흐르기 쉬운 구조를 만들었습니다. 중국은 유교 외에도 도교, 법가, 불교 등이 병존하면서 상대적 유연성을 유지했지만, 조선은 성리학 외의 사상을 이단으로 규정하고 철저히 배제했습니다. 2. 사림파의 집권과 '도덕성' 중심 정치문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