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

중국의 시진핑이 미국과의 대결에서 승리할 수 있을까? 아니면 실패할까?

요세비123 2025. 4. 30. 17:40
 
 

I.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미국과의 전략적 경쟁에서 "승리"할 수 있을지는 단순한 이분법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복합적인 문제입니다. 경제력, 기술 자립, 외교 전략 등 다양한 요소들이 상호 작용하고 있으며, 각 측면에서의 성과와 도전 과제가 존재합니다.


중국의 전략적 강점

  1. 기술 자립과 산업 경쟁력 강화
    시진핑 주석은 바이든 행정부 시기부터 과학·기술 분야의 자립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왔습니다. 그 결과, 중국은 반도체를 제외한 전기차, 로봇, 우주, 조선, 친환경 분야 등에서 세계적인 산업 경쟁력과 기술을 보유하게 되었습니다 .
  2. 글로벌 네트워크 확대
    중국은 '일대일로' 구상을 통해 동남아, 중동, 아프리카 등과의 경제·문화 교류를 확대하며,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과의 연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BRICS, 상하이협력기구(SCO),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등 국제 협력 기구를 주도하거나 참여함으로써 국제적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
  3. 장기적인 '지구전' 전략
    시진핑 주석은 미국의 대중국 관세전쟁에 맞서 '지구전'에 돌입하였으며, 미국의 동맹국들에게도 중국과의 협력을 선택하도록 압박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보다 더 오래 버티겠다는 전략으로, 경제적 충격을 흡수하고 외교적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의도로 해석됩니다 .

미국의 대응과 중국의 도전 과제

  1. 관세 전쟁과 기술 제재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산 제품에 대해 최대 245%에 이르는 관세를 부과하며, 중국의 경제에 압박을 가하고 있습니다 . 또한, 인공지능(AI) 반도체 칩의 중국 수출을 제한하는 등 기술 분야에서도 제재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
  2. 경제적 불확실성과 내부 도전
    중국은 미국과의 무역전쟁에서 승리할 경우 대만 침공을 감행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왔습니다. 그러나 이는 국제사회의 강한 반발과 경제적 제재를 초래할 수 있어, 중국의 전략적 선택에 신중함이 요구됩니다 .

전망: 승패보다는 장기적 경쟁 구도

현재의 미중 관계는 단기적인 승패보다는 장기적인 경쟁 구도로 전개되고 있습니다. 중국은 기술 자립과 글로벌 네트워크 확대를 통해 전략적 우위를 확보하려 하고 있으며, 미국은 관세 및 기술 제재를 통해 중국의 부상을 견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시진핑 주석이 미국과의 대결에서 "승리"할 수 있을지에 대한 판단은 시기상조이며, 향후 양국의 전략적 선택과 국제 정세의 변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II. 이 과정에서 중국의 분열이나 내전이 일어날 가능성은 어떤지 살펴보면, 2025년 현재, 중국에서 대규모 분열이나 내전이 발생할 가능성은 낮지만, 내부적으로는 다양한 구조적 긴장과 잠재적 불안 요소가 존재합니다.


시진핑 체제의 통제력과 안정성

시진핑 주석은 권력을 중앙집중화하고, 감시 기술과 정치적 탄압을 통해 체제의 안정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정치적 반대 세력은 대부분 억압되거나 해외로 추방되었으며, 이는 단기적으로 체제의 안정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내부 구조적 긴장 요인

그러나 다음과 같은 구조적 문제들이 잠재적인 불안 요소로 지적됩니다:

  • 경제적 압박: 부동산 시장의 침체와 낮은 소비자 신뢰는 경제 성장에 부담을 주고 있습니다.
  • 사회적 불만: 도시와 농촌 간의 격차, 청년 실업률 상승 등은 사회적 불만을 증대시키고 있습니다.
  • 정치적 억압: 강력한 정치적 억압은 단기적으로는 안정성을 제공하지만, 장기적으로는 불만을 잠재적으로 누적시킬 수 있습니다.

전망: 체제 변화 가능성

현재로서는 중국에서 대규모 분열이나 내전이 발생할 가능성은 낮지만, 경제적 침체나 사회적 불만이 누적될 경우, 체제의 변화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습니다. 특히, 외부 갈등을 통해 내부 불만을 전환하려는 시도가 있을 수 있으며, 이는 국제사회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III. 부동산 섹터 실패로 인한 경제 붕괴 가능성은 어떨까 본다면, 중국의 부동산 위기는 2025년 현재도 지속되고 있으며, 경제 전반에 심각한 부담을 주고 있습니다. 그러나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과 경제 구조의 다양성으로 인해 전면적인 경제 붕괴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평가됩니다.

 


부동산 위기의 현황과 영향

  • 주택 가격 하락: 2021년 정점 대비 약 30% 하락하여 가계 자산에 큰 손실을 초래했습니다.블룸버그
  • 개발업체 부도: 헝다(恒大), 컨트리 가든(碧桂园), 카이사(佳兆业) 등 주요 개발업체들이 채무 불이행에 직면하거나 구조조정을 진행 중입니다.Wikipedia
  • 가계 소비 위축: 부동산 자산 가치 하락으로 소비 심리가 위축되었으며, 이는 내수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Rhodium Group
  • 지방정부 재정 악화: 토지 매각 수입 감소로 인해 지방정부의 재정 건전성이 악화되었습니다.Wikipedia

정부의 대응과 국제 평가

  • 정책 대응: 중국 정부는 부동산 시장 안정을 위해 금리 인하, 채무 재조정, 지방정부의 미분양 주택 매입 등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 국제기구 평가: 국제통화기금(IMF)은 중국이 부동산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GDP의 약 5%에 해당하는 재정 지원이 필요하다고 권고하고 있습니다.로이터

 전망: 경제 붕괴 가능성은 낮지만, 구조적 개혁 필요

중국의 부동산 위기는 경제 성장률 둔화, 소비 위축, 지방정부 재정 악화 등 여러 측면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과 경제 구조의 다양성으로 인해 전면적인 경제 붕괴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평가됩니다. 다만, 장기적인 경제 안정을 위해서는 부동산 시장의 구조적 개혁과 내수 중심의 성장 전략이 필요합니다.


 
 
 
 
 

IV. 한편 중국은 AI와 반도체 분야에서 상당한 발전을 이루고 있는데 여기에 대한 객관적 평가를 본다면 중국은 인공지능(AI)과 반도체 분야에서 빠른 발전을 이루고 있으며, 미국의 기술 제재에도 불구하고 자립화와 기술 혁신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다만, 일부 기술 격차와 공급망 제약은 여전히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인공지능(AI) 분야: 빠른 성장과 실용화 중심 전략

  • 산업 규모 확대: 2023년 중국의 핵심 AI 산업 규모는 약 5784억 위안(약 80억 달러)으로 전년 대비 13.9% 성장했습니다. 2025년에는 1조 위안(약 1380억 달러)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글로벌 시장의 20% 이상을 차지할 전망입니다.
  • 생성형 AI 도입: 중국 기업의 15%가 생성형 AI를 도입했으며, 주요 산업에서 AI 활용률이 증가하고 있습니다.China Daily Global
  • 실용 중심의 기술 개발: 중국은 고성능 모델 훈련보다는 비용 효율적인 추론(inference) 기술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의 고성능 칩 수출 제한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화웨이와 딥시크(DeepSeek)와 같은 기업들이 국산 칩을 활용한 AI 모델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Financial Times
  • 로봇 및 자율 시스템: 중국은 '구현된 AI(embodied AI)' 기술을 일상생활에 통합하고 있으며, 심천과 같은 도시에서는 자율주행 드론과 휴머노이드 로봇이 상용화되고 있습니다.가디언

반도체 분야: 자립화 노력과 기술 격차

  • 화웨이의 AI 칩 개발: 화웨이는 미국의 NVIDIA 칩 수출 제한에 대응하여 Ascend 910C 및 Ascend 920과 같은 AI 칩을 개발했습니다. Ascend 910C는 NVIDIA H100의 약 60% 성능을 제공하며, Ascend 920은 H20과 유사한 성능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Wikipedia
  • 국산화 추진: 화웨이는 SMIC와 협력하여 7nm 및 6nm 공정의 칩을 생산하고 있으며, 2028년까지 반도체 공급망의 70%를 자립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Financial Times
  • 기술 격차와 공급망 제약: 중국은 여전히 고급 칩 제조 기술에서 TSMC와 같은 선두 기업에 비해 뒤처져 있으며, 이는 고성능 칩 생산에 제약을 주고 있습니다.

종합 평가

중국은 AI와 반도체 분야에서 상당한 발전을 이루었으며, 특히 AI 산업에서는 실용 중심의 전략을 통해 빠른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반도체 분야에서는 자립화를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으나, 고급 제조 기술과 공급망 제약은 여전히 도전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미국의 기술 제재는 중국의 기술 자립화를 촉진하는 요인이 되었으며, 향후 몇 년간 중국의 기술 역량 강화와 글로벌 경쟁력 향상이 주목됩니다.

728x90
반응형